금융/경제시사

퇴직금, 국민연금처럼 관리된다면? 기금화의 진실!

제이케이자산관리 2025. 6. 30. 16:38

1️⃣ 서론: 이슈 소개

최근 “퇴직금도 국민연금처럼 통합·기금화한다”는 소식이 화제입니다. 6월 24일 보도에 따르면 고용노동부가 퇴직연금 430조원을 국가 차원에서 공정하게 운용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.
→ “퇴직연금 공단 신설”, “사업장 의무화”, “벤처투자 허용” 등 구체 안도 보도되었습니다.
하지만 보도자료로 진위가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.

2️⃣ 기금형 퇴직연금이란?

  • 민주당 안도 의원이 검토 중인 법안 방식은 “기금형”입니다.
  • 전문기관이 퇴직연금을 한 곳에 모아 운용해, 규모의 경제와 전문 자산배분으로 수익률을 국민연금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방안입니다.
  • 미국의 401k나 호주의 Superannuation이 대표 모델로, 연평균 수익률 8% 수준을 기록 중입니다.

 

3️⃣ 기대 효과: 은퇴 자산 증대

  • 현재 한국의 퇴직연금 수익률은 2~3% 수준.
  • 미국·호주 직장인들의 고수익 구조를 목표로, 장기 복리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실제로 미국에서는 퇴직연금만으로 10억 원대 은퇴 자산 축적 사례도 흔합니다.

4️⃣ 걱정 포인트 vs 현실

  • ① 연금 고갈·수익 저하?
    ⇒ 국민연금이 고갈 우려를 겪으며 신뢰성 문제로 지적받았습니다.
  • ② 투자 제한 우려
    DC형처럼 본인이 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는 있지만, ‘국민연금식 집합운용’으로 통제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.
  • ③ 지나친 기구·정치 개입 우려
    ⇒ “통합 기금”이라 해도 정치 인사의 개입·정책 변경 위험은 여전합니다.

5️⃣ 대안: 디폴트 옵션 개선

  • 미국처럼 기본(default) 옵션에 “원리금 보장 제외형 → TDF·ETF 투자”를 적용하면 충분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.
  • 실제로 사용자의 선택 없이도 장기 투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!
  • 블로거 본인의 실제 사례: 2020년부터 미국 ETF 중심으로 투자 → 5년간 약 58.6% 수익률 달성!

6️⃣ 결론 및 정리

  • 기금형 퇴직연금은 분명 장점도, 우려도 있는 정책입니다.
  • 이 제도 도입 시 “공정 운용” 보장은 핵심이며, 국민의 신뢰가 따라야 합니다.
  • 정책 방향이 확정되기 전에, 중도 인출·IRP 등 대안 계좌로 이동하는 방법도 미리 고민해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.

📝 마무리 요약

  • 기금형 퇴직연금 = 퇴직금을 전문기관이 운용 → 수익률 강화 가능
  • ❗ 핵심 우려 = 정치·정책 개입, 투자 선택권 축소, 미래 고갈 문제
  • 💡 단순 대안 = 디폴트 옵션에서 원리금 보장형 제외 → ETF·TDF 중심 구성
  • 📌 개인 액션 = IRA·IRP 계좌로 이관 고려

 

 

 

반응형